11.Nas_1


작업중● 구글 도메인 구입 등록 변경 벙법 및 사이트 11q.kr 에서 123q.me 사이트 도메인 변경 진행중


  • 링크


  • 컨텐츠 정보


    본문

    ● 구글 도메인 구입 등록 변경 벙법 및 사이트 11q.kr 에서 123q.me 사이트 도메인 변경 진행중

    구글 도메인을 구입 사유
    1) 시놀로지 지원 도메인을 구입
    2) 서브도매인을 사용하자

    3) HAOS 의 연결을 통합 하자 (시놀로지 지원가능한 서브도메인 활용 ) 
    3) 같은 값이면 변경하자 

    =====================


     영상은 관리와 설정이 복잡하여 squarespace 사이트 자체 설정으로 연결

    https://account.squarespace.com/domains/managed/123q.me


    변경 작업 정보 확인 중입니다

    3232235521_1719341742.299.png

    3232235521_1719341390.5829.png

    3232235521_1719340490.981.png

    3232235521_1719340509.9742.png

    3232235521_1719340532.9893.png


    3232235521_1719340552.2117.png

    3232235521_1719341420.9531.png

    설정후 

    3232235521_1719340456.7829.png

    3232235521_1719341441.5278.png


    24시간  기달려 보자


    Copilot
    현재 페이지에서는 Squarespace 도메인 구매의 주요 이점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무료 WHOIS 프라이버시: 모든 자격이 있는 도메인에 대해 무료 WHOIS 프라이버시가 포함되어 있어 개인 정보를 보호합니다.
    SSL/TLS 인증서: Squarespace 도메인 사용자는 방문자가 사이트가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자동 업데이트 SSL/TLS 인증서를 받습니다1.
    도메인 관리 대시보드: 도메인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직관적인 Squarespace 도메인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이메일 포워딩: 도메인 구매 시 추가 비용 없이 이메일 포워딩 기능을 제공하며, 최대 100개의 별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점들은 사용자가 Squarespace를 통해 도메인을 구매할 때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혜택들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Squarespace 도메인 관련 페이지나 도움말 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준비) 국내주소 영문 변경 준비 주소 변환 합니다

    http://www.apt4.kr/postalcodes/convert/?q=주소

    3232235521_1714796147.045.png


    도메인 조회및 구입 경로

    https://domains.squarespace.com/


    3232235521_1714796224.6302.png

    3232235521_1714796529.2397.png

    등록하기

    3232235521_1714796562.375.png

    3232235521_1714796718.2567.png

    정보 입력

    3232235521_1714796735.6734.png

    비자 등록

    3232235521_1714796767.4025.png

    카드입력 정
    3232235521_1714796861.6027.png

    3232235521_1714796096.6118.png

    완료 내용 이메일 확인

    3232235521_1714797574.0041.png

    도메인 접속 확인 >> 공사중 표

    3232235521_1714797599.6727.png

    구글 도메인을 시놀로지에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 도메인 접속: 구글 도메인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한 도메인을 확인합니다.

    DNS 설정: DNS 설정 메뉴에서 '종합레코드’란에 가서 '동적DNS’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위 도메인 설정: 원하는 서브도메인을 등록해줍니다. 예를 들어, 도메인이 xxxx.com이라면 ddns.xxxx.com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설정: 시놀로지 NAS에 접속하여 ‘외부 액세스’ 메뉴에서 DDNS 설정을 진행합니다.

    서비스 공급자 선택: 서비스 공급자로 Google을 선택하고, 앞서 DNS 설정에서 확인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연결 테스트: 설정을 마친 후 연결 테스트를 진행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개인 도메인을 시놀로지 NAS에 DDNS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 도메인의 CNAME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3232235521_1714797941.1917.png


    https://xeriars.com/243/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5335747


    도메인 연동 확인


    https://domains.google/

    3232235521_1714798462.6984.png

    3232235521_1714798630.0197.png


    https://domains.squarespace.com/?channel=bd&subchannel=google-domain&campaign=&subcampaign=&source=google_domain_referral&utm_source=google_domain_referral&utm_medium=bd&utm_content=google-domain&utm_term=&utm_campaign=


    3232235521_1714798642.3292.png

    3232235521_1714798669.8221.png


    https://account.squarespace.com/domains/managed/123q.me/dns/dns-settings

    3232235521_1714798708.41.png

    A 레코드 vs CNAME 장단점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의 장단점은 명확하다. 
     
    A 레코드의 장점은 한번의 요청으로 찾아갈 서버의 IP 주소를 한번에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빠르다. 반면 단점은 IP 주소가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는 조금 번거로울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main.co.kr 와 another.co.kr 두개의 도메인들에 A 레코드로  IP 주소 1.1.1.100 를 맵핑했다고 하자.
    그러다 실 서버 주소가 업데이트로 인해 22.22.1.30 으로 변경되었다고 가정 하자.
    그러면 실 서버 주소와 도메인에 맵핑된 주소가 달라 접속이 불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일일히 도메인의 A 레코드를 변경해줄 필요가 있게 된다.
     
    지금은 두개밖에 없지만 도메인을 수십개 관리하고 있는 인프라 환경에선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반면에, CNAME 레코드의 장점은 IP 주소가 자주 변경되는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another.co.kr 와 others.co.kr 두개의 서브 도메인을 메인 도메인인 main.co.kr 로 매핑시키는 CNAME 레코드로 저장하고,

    main.co.kr이라는 주소를 서버 IP 1.1.1.100 주소로 매핑시키는 A 레코드로 저장하여 도메인 인프라를 구성해 놓았다면,

    만일 서버의 IP 주소가 바뀌었을 때 main.co.kr의 A 레코드 정보만 변경시키면 나머지 CNAME으로 연결된 서브 도메인들은 따로 작업이 필요 없어진다. (편하다)

    관리는 하나만 하면 된다
    그러나 CNAME 레코드의 단점은 아무래도 맵핑을 중복으로 연달아 하여, 실제 IP 주소를 얻을 때까지 여러번 DNS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는 점이다.
    DNS 정보를 해석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성능저하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총정리 하자면, A레코드와 CNAME은 장점과 단점이 서로 상반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장점단점
    A 레코드도메인이 바뀌어도 IP는 그대로 이므로 유지가 된다서버 이전등의 문제로 IP가 변동될시에 일일히 변경해야 한다.
    CNAME서버 이전등의 문제로 IP가 변동될시에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도메인이 바뀌면 변경해야 한다.
    그리고 여러번 요청이 될경우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가 있다.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WEB-????-DNS-레코드-종류-★-알기-쉽게-정리 [Inpa Dev ????‍????:티스토리]


    https://www.youtube.com/watch?v=oMQSTtHGEBs

    공유기 설정

    1) dmz  설정

    3232235521_1714895470.9328.png

    2) 포트 포워드 설정 > 80,443,53  설정

    3232235521_1714895481.5969.png

    DNS서버 설치

    시놀로지 dns server  패키지센터 에서  설치

    3232235521_1714895799.6717.png

    dns서버 설정 > 공유기 외부 ip와 도메인 등록

    3232235521_1714896788.8178.png


    레코드 편집 

    자신의 도메인 NS타입 에 1치 네임서버 등록

    네임서버에 a-type의 공유기 외부 ip입력

    3232235521_1714896813.5489.png

    a- typw 공유기 외부 ip등록

    3232235521_1714896855.1246.png


    3232235521_1714896883.4399.png

    참조 작업

    3232235521_1714901598.7951.png

    3232235521_1714901734.9126.png

    3232235521_1714901990.0622.png

    기존 사용 도메인과 신규 구입한 도메인 등록

    3232235521_1714902032.8231.png


    도메인 업체 > 도메인관리에 서  설정

    도메인 업체 > 도메인 관리 >dns 호스트 설정 > 1개면 1개 등

    3232235521_1714896720.8636.png

    네임너버 등록

    3232235521_1714896762.3124.png

    =======================>  상기 조건은 필요 없다

    User
    squarespace 에서 도메인 등록하여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연결시 네임서버 설정
    ChatGPT

    Squarespace에서 도메인을 등록하고 이를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

    1. 도메인 구입 및 설정

    먼저 Squarespace에서 도메인을 구입합니다.

    2. 도메인 DNS 설정 변경

    구입한 도메인을 시놀로지 서버와 연결하려면 DNS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1. Squarespace에 로그인

      • Squarespace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Domains'를 선택합니다.
      • 연결하려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2. DNS 설정 변경

      • 'Advanced settings' 또는 'DNS settings'를 클릭합니다.
      • 필요한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A 레코드 설정:

    • 호스트: 빈칸 (또는 '@')
    • : 시놀로지 서버의 공인 IP 주소

    CNAME 레코드 설정 (필요한 경우):

    • 호스트: www
    • : 시놀로지 서버의 도메인 또는 공인 IP 주소

    3. 시놀로지 NAS 설정

    시놀로지 NAS에서 웹서버 설정을 통해 도메인을 처리할 준비를 합니다.

    1. 시놀로지 DSM에 로그인

      • 시놀로지 NAS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웹스테이션(Web Station) 설치 및 설정

      • 패키지 센터에서 'Web Statio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Web Station'을 열고 웹 서비스 설정을 구성합니다.
    3. 가상 호스트 설정

      • 'Web Station'에서 '가상 호스트'를 설정합니다.
      •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웹폴더 경로와 포트(보통 80 또는 443)를 지정합니다.

    4. 방화벽 및 포트 포워딩 설정

    라우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1. 라우터 로그인

      • 라우터 관리 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2. 포트 포워딩 설정

      • 포트 80 (HTTP)과 443 (HTTPS)을 시놀로지 NAS의 내부 IP 주소로 포워딩합니다.

    5. 연결 확인

    DNS 설정이 전파되기까지 최대 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후 도메인을 입력하여 시놀로지 서버에 연결되는지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따라 도메인을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성공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 단계의 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고객 지원에 문의해보세요.

    4o
    여기서 도메인 네임서버는 무엇을 입력 하나요
    ChatGPT

    도메인을 구입하고 Squarespace에서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로 연결할 때, 네임서버를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DNS 레코드(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를 설정하여 도메인이 시놀로지 서버를 가리키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나, 네임서버를 변경해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다음과 같은 네임서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 DNS 레코드 변경

    기본적으로 네임서버를 변경하지 않고 DNS 레코드를 변경하여 시놀로지 NAS에 연결합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DNS 레코드를 설정합니다.

    A 레코드 설정

    • 호스트: 빈칸 (또는 '@')
    • : 시놀로지 NAS의 공인 IP 주소

    CNAME 레코드 설정 (필요한 경우)

    • 호스트: www
    • : 시놀로지 NAS의 도메인 또는 공인 IP 주소

    네임서버 변경이 필요한 경우

    특별히 네임서버를 시놀로지 NAS의 네임서버로 변경하려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1. 네임서버 정보 확인

      • 시놀로지 NAS 자체에 네임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해당 네임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을 확인합니다.
    2. Squarespace에서 네임서버 변경

      • Squarespace 도메인 설정 페이지에서 'Advanced settings' 또는 'DNS settings'로 이동합니다.
      • 'Custom nameservers'를 선택합니다.
      • 시놀로지 NAS 네임서버의 도메인 또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시

    • Nameserver 1: ns1.yoursynologynas.com
    • Nameserver 2: ns2.yoursynologynas.com

    이렇게 설정하면 도메인이 시놀로지 NAS에서 관리하는 네임서버를 사용하게 됩니다. 네임서버 변경이 DNS 레코드 변경보다 더 복잡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DNS 레코드 변경을 통해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네임서버 변경을 통해 시놀로지 NAS와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시놀로지 NAS에 실제로 네임서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네임서버가 도메인의 DNS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고급 네트워킹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https://11q.kr 에 등록된 자료 입니다. ♠ 정보찾아 공유 드리며 출처는 링크 참조 바랍니다♠1.png

    [이 게시물은 11qkr님에 의해 2024-05-04 13:38:12 41.Admin_1에서 이동 됨]
    뷰PDF add1,add2



    관련자료

    댓글 10

    11qkr님의 댓글

    https 서비스 무료로 사용가능한 ssl인증서 적용를 위한 네임서버관리 변경
    https://www.youtube.com/watch?v=_jJSzoV1uSg
    https://www.youtube.com/watch?v=-vGJJi1tqW4&t=297s

    11qkr님의 댓글

    시놀로지 외부 접속 초기 설정 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riV4bNtlpRk
    [NAS 자작] 4. 외부에서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 NAS 만들기(+ 주소 뒤에 :5000 안쓰고 접근하기)

    11qkr님의 댓글

    DOMAINS LIST
    Overview

    DNS

    DNS Settings

    Domain Nameservers

    Nameserver Registration

    DNSSEC

    Website

    Email

    Permissions

    Billing

    Domain Nameservers
    Nameservers determine the way your website is found using your domain name. Learn more about nameservers.

    SQUARESPACE NAMESERVERS

    USE CUSTOM NAMESERVERS
    ns-cloud-e1.googledomains.com

    ns-cloud-e2.googledomains.com

    ns-cloud-e3.googledomains.com

    ns-cloud-e4.googledomains.com

    11qkr님의 댓글

    도메인이란? 웹사이트에 나만의 도메인 등록하는 방법 (ft. HTTPS 평생 무료)
    https://www.youtube.com/watch?v=_jJSzoV1uSg

    11qkr님의 댓글

    하나의 도메인으로 2대의 NAS서버 운영하기(도메인 및 포트운영기법 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2urvatYxujk

    11qkr님의 댓글

    11qkr님의 댓글

    squarespace 에서 도메인 등록하여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연결시 네임서버 설정
    ChatGPT
    Squarespace에서 도메인을 등록하고 이를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

    1. 도메인 구입 및 설정
    먼저 Squarespace에서 도메인을 구입합니다.

    2. 도메인 DNS 설정 변경
    구입한 도메인을 시놀로지 서버와 연결하려면 DNS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Squarespace에 로그인

    Squarespace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좌측 메뉴에서 'Domains'를 선택합니다.
    연결하려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DNS 설정 변경

    'Advanced settings' 또는 'DNS settings'를 클릭합니다.
    필요한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A 레코드 설정:
    호스트: 빈칸 (또는 '@')
    값: 시놀로지 서버의 공인 IP 주소
    CNAME 레코드 설정 (필요한 경우):
    호스트: www
    값: 시놀로지 서버의 도메인 또는 공인 IP 주소
    3. 시놀로지 NAS 설정
    시놀로지 NAS에서 웹서버 설정을 통해 도메인을 처리할 준비를 합니다.

    시놀로지 DSM에 로그인

    시놀로지 NAS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웹스테이션(Web Station) 설치 및 설정

    패키지 센터에서 'Web Statio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Web Station'을 열고 웹 서비스 설정을 구성합니다.
    가상 호스트 설정

    'Web Station'에서 '가상 호스트'를 설정합니다.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웹폴더 경로와 포트(보통 80 또는 443)를 지정합니다.
    4. 방화벽 및 포트 포워딩 설정
    라우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라우터 로그인

    라우터 관리 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

    포트 80 (HTTP)과 443 (HTTPS)을 시놀로지 NAS의 내부 IP 주소로 포워딩합니다.
    5. 연결 확인
    DNS 설정이 전파되기까지 최대 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후 도메인을 입력하여 시놀로지 서버에 연결되는지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따라 도메인을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에 성공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 단계의 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고객 지원에 문의해보세요.

    여기서 도메인 네임서버는 무엇을 입력 하나요
    ChatGPT
    도메인을 구입하고 Squarespace에서 시놀로지 개인 웹서버로 연결할 때, 네임서버를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DNS 레코드(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를 설정하여 도메인이 시놀로지 서버를 가리키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나, 네임서버를 변경해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다음과 같은 네임서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 DNS 레코드 변경
    기본적으로 네임서버를 변경하지 않고 DNS 레코드를 변경하여 시놀로지 NAS에 연결합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DNS 레코드를 설정합니다.

    A 레코드 설정
    호스트: 빈칸 (또는 '@')
    값: 시놀로지 NAS의 공인 IP 주소
    CNAME 레코드 설정 (필요한 경우)
    호스트: www
    값: 시놀로지 NAS의 도메인 또는 공인 IP 주소
    네임서버 변경이 필요한 경우
    특별히 네임서버를 시놀로지 NAS의 네임서버로 변경하려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네임서버 정보 확인

    시놀로지 NAS 자체에 네임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해당 네임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을 확인합니다.
    Squarespace에서 네임서버 변경

    Squarespace 도메인 설정 페이지에서 'Advanced settings' 또는 'DNS settings'로 이동합니다.
    'Custom nameservers'를 선택합니다.
    시놀로지 NAS 네임서버의 도메인 또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시
    Nameserver 1: ns1.yoursynologynas.com
    Nameserver 2: ns2.yoursynologynas.com
    이렇게 설정하면 도메인이 시놀로지 NAS에서 관리하는 네임서버를 사용하게 됩니다. 네임서버 변경이 DNS 레코드 변경보다 더 복잡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DNS 레코드 변경을 통해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네임서버 변경을 통해 시놀로지 NAS와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시놀로지 NAS에 실제로 네임서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네임서버가 도메인의 DNS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고급 네트워킹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1qkr님의 댓글

    DNS 설정 만 설명해주세요
    ChatGPT
    네임서버를 변경하지 않고 Squarespace의 기본 네임서버를 사용하여 서브 도메인을 Synology NAS의 Web Station에 연결하려면 Squarespace에서 DNS 레코드를 설정해야 합니다. 다음은 그 단계입니다.

    1. Squarespace에서 서브 도메인 DNS 레코드 추가
    Squarespace에 로그인합니다.
    Settings > Domains로 이동합니다.
    서브 도메인을 추가할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Advanced settings를 클릭합니다.
    DNS settings를 클릭합니다.
    Add record를 클릭하여 아래와 같은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A Record 추가 예제
    Type: A
    Host: subdomain (예: blog 또는 shop 등)
    Value: Synology NAS의 공인 IP 주소 (예: 123.123.123.123)
    TTL: 기본값 사용 (보통 자동 설정)
    예시
    Type Host Value TTL
    A blog 123.123.123.123 Default
    DNS 설정 요약
    Type: A
    Host: 서브 도메인 이름 (예: blog)
    Value: Synology NAS의 공인 IP 주소 (예: 123.123.123.123)
    TTL: 기본값 사용
    이 설정을 통해 blog.yourdomain.com이 Synology NAS의 공인 IP 주소로 연결됩니다. DNS 전파에는 최대 24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설정 후 바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조금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DNS 레코드를 설정하면 네임서버를 변경하지 않고도 서브 도메인을 Synology NAS의 Web Station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전체 0 / 1 페이지
    게시물이 없습니다.(다음페이지로 이동 하세요)
    전체 0 / 1 페이지



    ♥간단_메모글♥


    최근글


    새댓글



    PHP 안에 HTML ☞ 홈페이지 화면갱신 시간은 ♨
    ▶ 2024-06-26 07:36:11

    오늘의 홈 현황


    • 현재 접속자♨ 60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주간 가입자※ 8 명
    • 오늘 방문자 1,042 명
    • 어제 방문자 2,051 명
    • 최대 방문자 13,042 명
    • 전체 방문자 4,395,649 명
    • 전체 게시물※ 8,654 개
    • 전체 댓글수※ 24,772 개
    • 전체 회원수 11,068 명

    QR코드


    ☞ QR코드 스캔은 kakao앱 자체 QR코드

    알림 0








    최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