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Nas_1


새창 작성 수정 목록 링크 Edit G카랜다 HDD HDD HDD 게시물 주소 복사


VMware Raw Device Mapping(RDM) 설정

♨ 카랜더 일정 :
  • 링크

  • 첨부

  • 컨텐츠 정보

    본문

    VMware에서 datastore의 VMFS논리 볼륨이 아닌 물리 디스크 디바이스를 그대로 마운트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위해 사용하는 기술 입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vm&wr_id=23 


    RDM 설정 방법 

    1. ESXi Server에 SSH로 접속 로그인 후 


    2. 아래 명령을 입력하여 RDM으로 연결하려는 디스크의 이름을 찾습니다. 

    #fdisk -l 


    3. 아래 명령을 입력하여 위에서 찾은 디스크 이름의 VML_ID를 찾습니다.

    #ls /dev/disks/ -l 


    4.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물리디스크를 가상디스크로 맵핑함. [VML_ID] 는 복사하여 붙여넣기 합니다. 

    관리하기 편리하도록 폴더 생성 후 해당 [폴더경로]를 지정하고 [가상디스크.vmdk] 명은 원하는 이름으로 입력합니다. 

    #vmkfstools -z /vmfs/devices/disks/[VML_ID] /vmfs/volumes/[스토리지명]/[폴더경로]/[가상디스크명.vmdk] -a lsilogic


    ex) #vmkfstools -z /vmfs/devices/disks/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3951473358423630535433353030 /vmfs/volumes/datastore1/RDM_DISK/RDM1.vmdk -a lsilogic

    ps) -z 옵션 대신 -r 옵션도 가능하나 -r의 경우 2T 이하에만 사용가능하다고 합니다. 


    5. 해당 [폴더경로]에 [가상디스크명.vmdk] 로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


    6. 가상 시스템에서 설정 편집 > 가상 시스템 속성 > 하드웨어 > 추가 > 하드디스크 > 기존 가상디스크 사용 > 디스크 파일 경로에서 위의 [가상디스크명.vmdk] 파일을 선택 



    출처: http://balamkal.tistory.com/entry/VMware-Raw-Device-MappingRDM-설정 []--------------------------------------

    [VMWare] Raw Device Mapping(RDM) 설정

    이은호   
       조회 23886   추천 6    

    예전에 필요가 있어서 해외 포럼 검색하면서 작성한 간단 가이드인데, 필요하신 분이 있으실지는 모르겠습니다.
     
    특별한 경우 VM에서 datastore의 VMFS 논리볼륨이 아닌 물리 디스크 디바이스를 그대로 마운트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때 사용하는 기술이 Raw Device Mapping. 줄여서 RDM 이라고 부릅니다.
     
    다음은 RDM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VMFS 볼륨에 읽기/쓰기가 직접 발생하지 않고, mapping file이 존재하여
    물리디스크(mapped device)로의 주소변환을 담당하게 됩니다. 읽기와 쓰기시에는 VM이 물리디스크에 직접접근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물리디스크는 VMFS로부터 자유로운 독자적인 파일시스템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RDM 설정법입니다.
     
    1. ESXi의 SSH Server를 Enable 설정
    2. ESXi에 SSH로 접속
    3.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여, RDM으로 연결하려는 디스크의 이름을 찾는다. (이경우 ST3500630AS__9QG3CC60)
     
    4.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RDM으로 연결하려는 디스크의 VML_ID를 디스크 이름을 이용하여 찾는다.
    (이경우 ST3500630AS__9QG3CC60 에 대한 심볼릭링크인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3951473358423630535433353030)

    5.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물리디스크를 가상디스크로 맵핑함
     
    6. vSphere Client로 ESXi 접속
    7. RDM된 디스크를 추가할 가상머신의 [설정편집] 화면으로 이동
    8. [하드웨어]탭에서 [추가] 선택 > [하드디스크] 선택 > [기존 디스크 사용] 선택 > 5단계에서 생성한 RDM용 가상디스크 선택
     
    9. 가상머신 재부팅
     
    추가. 만약 RDM된 디스크를 다른 가상머신과 공유하려면 [설정편집] > [하드웨어] 탭에서 [SCSI 컨트롤러] 선택 > [SCSI 버스 공유]에서 [가상]이나 [물리적]을 선택
     
     
    끝~ 입니다. 좋은 밤 되세요~
     
     
    ps. 이해를 위해 RDM 아키텍처가 좀더 잘 설명된 이미지 첨부합니다.


    ESXi 6.5 RDM 추가

    vhrms

    http://vhrms.tistory.com/m/711

    참조



    1. SSH를 활성화 합니다.

    ?scode=mtistory&fname=http%3A%2F%2Fcfile8.uf.tistory.com%2Fimage%2F2459AF4A591B311E2AC906


    2. SSH로 ESXi 6.5서버에 접속합니다.

     (Putty 또는 Mac 에서 terminal 이용)



    3.  fdisk -l 명령어로 디스크 확인, 저는 이 디스크를 RDM으로 사용 예정 - 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


    ***

    *** The fdisk command is deprecated: fdisk does not handle GPT partitions.  Please use partedUtil

    ***


    Found valid GPT with protective MBR; using GPT


    Disk /dev/disks/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 7821312 sectors, 3819M

    Logical sector size: 512

    Disk identifier (GUID): 16df9f96-0478-428f-89ad-f405bd23a87a

    Partition table holds up to 128 entries

    First usable sector is 34, last usable sector is 7821278


    Number  Start (sector)    End (sector)  Size       Code  Name

       1              64            8191       4064K   0700  

       5            8224          520191        249M   0700  

       6          520224         1032191        249M   0700  

       7         1032224         1257471        109M   0700  

       8         1257504         1843199        285M   0700  

       9         1843200         7086079       2560M   0700  


    Disk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 1000.2 GB, 1000204886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216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p1               1         311     2490240  fd Linux raid autodetect

    Partition 1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p2             311         572     2097152  fd Linux raid autodetect

    Partition 2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p3             588      121589   971941584  fd Linux raid autodetect

    Found valid GPT with protective MBR; using GPT


    Disk /dev/disks/t10.ATA_____MTFDDAK256MBF2D1AN1ZABHA_________________________1644147A6A0F: 500118192 sectors, 2534M

    Logical sector size: 512

    Disk identifier (GUID): 92872874-8a48-4be5-a390-1b269e10a786

    Partition table holds up to 128 entries

    First usable sector is 34, last usable sector is 500118158


    Number  Start (sector)    End (sector)  Size       Code  Name

       1             128       500118152        238G   0700  


    Disk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 1000.2 GB, 1000204886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216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disks/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p1   *           1      121602   976762583   b Win95 FAT32


    4. ls /dev/disks/ -l 명령어로 vml_id확인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의 vml_id는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3331413235334b525544574443205744 이니 메모.

    [root@localhost:~] ls /dev/disks/ -l

    total 4414388436

    -rw-------    1 root     root     256060514304 May 17 02:11 t10.ATA_____MTFDDAK256MBF2D1AN1ZABHA_________________________1644147A6A0F

    -rw-------    1 root     root     256060428800 May 17 02:11 t10.ATA_____MTFDDAK256MBF2D1AN1ZABHA_________________________1644147A6A0F:1

    -rw-------    1 root     root     1000204886016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

    -rw-------    1 root     root     1000204884992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1

    -rw-------    1 root     root     1000204886016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

    -rw-------    1 root     root     2550005760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1

    -rw-------    1 root     root     2147483648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2

    -rw-------    1 root     root     995268182016 May 17 02:11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3

    -rw-------    1 root     root     4004511744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

    -rw-------    1 root     root       4161536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1

    -rw-------    1 root     root     262127616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5

    -rw-------    1 root     root     262127616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6

    -rw-------    1 root     root     115326976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7

    -rw-------    1 root     root     299876352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8

    -rw-------    1 root     root     2684354560 May 17 02:11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9

    lrwxrwxrwx    1 root     root            48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1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1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5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5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6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6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7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7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8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8

    lrwxrwxrwx    1 root     root            50 May 17 02:11 vml.0000000000766d68626133323a303a30:9 -> t10.SanDisk_Cruzer_Blade____4C530203110624117083:9

    lrwxrwxrwx    1 root     root            73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3136343431343741364130464d5446444441 -> t10.ATA_____MTFDDAK256MBF2D1AN1ZABHA_________________________1644147A6A0F

    lrwxrwxrwx    1 root     root            75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3136343431343741364130464d5446444441:1 -> t10.ATA_____MTFDDAK256MBF2D1AN1ZABHA_________________________1644147A6A0F:1

    lrwxrwxrwx    1 root     root            74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3331413235334b525544574443205744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

    lrwxrwxrwx    1 root     root            76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3331413235334b525544574443205744:1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31A253KRUD:1

    lrwxrwxrwx    1 root     root            74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42314138354c4a314a34574443205744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

    lrwxrwxrwx    1 root     root            76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42314138354c4a314a34574443205744:1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1

    lrwxrwxrwx    1 root     root            76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42314138354c4a314a34574443205744:2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2

    lrwxrwxrwx    1 root     root            76 May 17 02:11 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42314138354c4a314a34574443205744:3 -> t10.ATA_____WDC_WD10SPCX2D24HWST1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XB1A85LJ1J4:3


    5. /vmfs/volumes 이 경로에 가면 데이터스토어 만들때 생성한 볼륨이 확인된다. 저는 SSD입니다. SSD볼륨안에 RDM이란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 둡니다.


    [root@localhost:/vmfs/volumes] ls

    591673ed-9c377eb6-7060-002655e41419  591a4706-07fe9960-cdd5-002655e41419  808dece9-3fa86c88-026d-6630ff07923e  SSD                                  b4a991e3-585c0f57-7fa5-554f83bd8ec4


    6. 아래 명령어를 참고하여 물리하드디스크를 가르키는 파일을 만들어주세요. (아래 명령어를 메모장에 붙여 넣고 보세요. 엔터를 친곳 없습니다.)

    vmkfstools -z /vmfs/devices/disks/vml.0100000000202020202057442d57583331413235334b525544574443205744 /vmfs/volumes/SSD/RDM/WD1TB_NAS_BAK.vmdk -a l

    silogic


    7. ESXi 6.5 web client에서 vm을 하나 만듭니다. 그리고 편집모드로  들어가서 기존하드디스크로 추가합니다.

    ?scode=mtistory&fname=http%3A%2F%2Fcfile7.uf.tistory.com%2Fimage%2F2703B63D591B3D08150B83



    ?scode=mtistory&fname=http%3A%2F%2Fcfile21.uf.tistory.com%2Fimage%2F261D9C4E591B3DEF021139


    rdm이 얼마나 안정적일지 모르지만 이글에 수정이 없는한 정상적으로 잘 쓰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출처는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s://11q.kr ♠

    [ 추가 정보 ... 더보기) ]
    뷰PDF 1,2



    office view

    관련자료

    댓글목록

    profile_image

    shimss11q님의 댓글

    shimss11q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3.♡.165.8) 작성일

    vsphere web client 말고 예전 vsphere client는 아래 주소로 가셔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https://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2089791

    1번 개별디스크를 esxi host에 장착하고, ssh로 접속하셨단 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vsphere web client 또는 vsphere client의 configuration tab > storage adapters에서 컨토롤러 확인하시고, storage 에서 해당 디스크 올라오는거 보신 다음에 vmfs로 포맷하지 마시고 vm 생성후에  디스크를 추가하시면서 디스트 타입을 원시 디바이스 매핑 (raw device mapping)으로 해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http://2cpu.co.kr/vm/7059

    profile_image

    shimss11q님의 댓글

    shimss11q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3.♡.165.8) 작성일

    ESXi 6.5 RDM 추가
    http://vhrms.tistory.com/m/711

    profile_image

    shimss11q님의 댓글

    shimss11q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92.♡.0.1) 작성일

    vmware workstation 으로 계속 사용 저의 시스탬은 포기 합니다

    목록

    새창 작성 수정 목록 링크 Edit G카랜다 HDD HDD HDD 게시물 주소 복사




    Total 1,677 / 63 Page
    [ 펌정보)안드로이드 TV 박스 구매 필수 정보 정리 및 활용 종합 가이드 ]

    펌정보)안드로이드 TV 박스 구매 필수 정보 정리 및 활용 종합 가이드https://cafe.naver.com/mk802/34139■ ▶ ☞ ♠…

    [ 참조)샤오미 미박스(Mi Box) 글로벌롬(오레오) 올리기 및 교체 작업 필요 없음 ]

    참조)샤오미 미박스(Mi Box) 글로벌롬(오레오) 올리기 및 교체 작업 필요 없음니다MiBox3-EddyLab에디션에서 구입한 제품의 정보 입…

    [ iptime 공유기의 Plug-in APP 설치된 아파치 동작이 포트문제로 접속 공유기 아파치서버가 동작이 … ]

    iptime 공유기의 Plug-in APP 설치된 아파치 동작이 포트문제로 접속 공유기 아파치서버가 동작이 않될때 다른 임의 포트로 지정후 아파…

    [ 성공)공유기 외부 아이피 변경시 텔레그램으로 메세지 받기 ] 댓글 2

    외부 아이피 변경시 텔레그램으로 메세지 받기성공 했습니다zelits.tistory.com의 자료 입니다-----------------------…

    [ nano edit 에디터 설정 윈도우 편집기로 변경 명령 ] 댓글 5

    nano edit 에디터 설정 윈도우 편집기로 변경 명령 nano ~/.nanorc시놀로지 와 coreelec 의 조건입니다#nano ~/.na…

    [ Coreelec 의 Docker 설치 와 부팅 시간 미 사용시 조건 ]

    Coreelec 의 Docker 설치 와 부팅 시간설치후 iptv 전용 TV 자동실행 시간kodi 단독으로 docker 사용않함 조건시 부팅 -…

    [ nas 종료 및 재부팅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 댓글 1

    안녕하세요,나를 위해 종료 및 재부팅이 작동하지 않습니다.지금은 종료를 시작할 때 약 5 분 정도 기다렸다가전원을 끊습니다.내 사양은 다음과 같…

    [ 리눅스(Linux) 포트 열기, 방화벽 설정해제 등 ]

    리눅스(Linux) 포트 열기, 방화벽 설정해제 등작성자v-eng작성일2016-09-05 09:47조회45022http://www.veng.co…

    [ nas 파일 pc다운로드 최상의 방법 ]

    pc에서 나스에 여러가지 접속 사용중입니다이중에서 nas의 파일을 pc 로 복사 하여파일 일괄 수정후 다시 nas로 복사 하고자 합니다이때 파일…

    [ Reboot to LibreELEC apk ]

    Reboot to LibreELEC apk■ ▶ ☞ 정보찾아 공유 드리며 출처는 링크 참조 바랍니다 ♠ . ☞ 본자료는 https://11q.k…

    [ Rsync 란 ? 복사 백업 tool 사용방법 ]

    Rsync 란 ? 복사 백업 tool 사용방법Rsync(Remoe Sync)는 원격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복사하고 동기화 하기 위해서 사용하…

    [ 펌정보)SSL 적용 후 무조건 https로 접속되게 하는 방법 ]

    SSL 적용 후 무조건 https로 접속되게 하는 방법이학권2018.07.11 14:22:35조회10,506댓글22검색목록목록글쓰기안녕하세요! …

    [ ● PHP, Mysql 응답속도 개선 홈페이지가 느리다고 수정 서버응답 확인 ] 댓글 2

    ●PHP, Mysql 응답속도 개선 홈페이지가 느리다고 수정PHP 문서 작성중 파일을 수정했는데 웹서버에 반영 속도가 느리다면php.ini 파일…

    [ ● 시놀로지 기본 ipkg 설치 각종 유틸리티 사용을 위한 ipkg 설치 과정 ] 댓글 3

    ● 시놀로지 기본 ipkg 설치 각종 유틸리티 사용을 위한 ipkg 설치 과정https://11q.kr/www/bbs/board.php?bo_t…

    [ ● ESXi 7.0 Web Client 자동 로그아웃 끄기 ]

    ●ESXi 7.0 Web Client 자동 로그아웃 끄기 esxi 로그인 작업후 얼마의 시간 경과후 아무런 작업이 없어서 로그아웃되었습니다 ▶V…


    ♥간단_메모글♥


    최근글


    새댓글



    PHP 안에 HTML ☞ 홈페이지 화면갱신 시간은 ♨
    ▶ 2024-06-29 12:25:37

    오늘의 홈 현황


    • 현재 접속자♨ 558(1) 명
    • 오늘 가입자※ 2 명
    • 어제 가입자※ 4 명
    • 주간 가입자※ 8 명
    • 오늘 방문자 1,592 명
    • 어제 방문자 2,007 명
    • 최대 방문자 13,042 명
    • 전체 방문자 4,402,754 명
    • 전체 게시물※ 8,663 개
    • 전체 댓글수※ 24,791 개
    • 전체 회원수 11,076 명

    QR코드


    ☞ QR코드 스캔은 kakao앱 자체 QR코드

    알림 0








    최신글↑